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방세 납세증명서 발급

by 김소장777 2022. 6. 8.
반응형

지방세 납세 증명서 인터넷 발급

대한민국 세법은 크게 두 가지의 납세의무가 있습니다.

국세와 지방세입니다.

국세와 지방세 중 지방세는 지방자치단체에서 필요로 하는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다양한 목적으로 지역 거주민들에게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대표적인 지방세로는 취. 등록세와 자동차 세금, 재산세 등이 있습니다. 

 

이렇게 징수한 지방세는 지역 내의 다양한 편의시설 등, 기본적인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즉. 지자체 살림살이 용도로 사용되어진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지방세 납세(완납) 증명서는 이러한 세금들을 체납하지 않고 성실히 모두 완납하였다는 증명서입니다.

지방세 납세증명서의 용도는 대표적으로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 관련하여 확인용으로 많이 제출을 하게 되는데

그럴 때마다 주민센터 방문은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낭비가 아닐 수 없습니다. 

 

지방세 납세증명서 발급은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모두 발급받을 수 있으며,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하여

오프라인으로 발급 받을수 있으며 온라인으로는 대표적인 정부 사이트인 "정부24"에서 간편하게 발급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발급의 장점은 쉽고 간편하게 비용 없이 발급받을 수 있다는 데 있습니다.

그럼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부24 인터넷 접속 ▼

 

 

정부서비스 | 정부24

정부의 서비스, 민원, 정책·정보를 통합·제공하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포털

www.gov.kr

 

 

정부 24 홈페이지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자주 찾는 서비스를 보실 수 있습니다.

지방세 납세증명을 클릭합니다.

지방세납세증명서
지방세납세증명서

 

정부24 홈페이지 접속조차 시간이 아깝고 귀차니즘이 있는 분들은

지방세 납세증명서 민원 및 신청으로 바로가기 클릭하여 접속합니다.

 

지방세납세증명 바로가기

 

신청하기를 클릭합니다.

 

지방세납세증명 신청 화면이 나오면서 신청내용에 빈칸을 채워 줍니다.

사업자구분(개인/법인), 주민등록번호, 인적사항, 업종 등 빠짐없이 기입합니다.

 

 

 

사업의 종류 탭에서 검색을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새로운 코드검색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에 본인의 사업자 등록증에 표기되어 있는 업종과 동일한 업종코드를 찾아 클릭합니다.

업종코드에 따라 누르면 세부항목으로 표시가 되니 본인의 업종과 비슷한 업종을 눌러보시면

하위 업종들이 나옵니다.

 

 

 

 

사업의 종류를 선택하시고 계속해서 아래쪽에 보시면 신청내용과 수령방법 선택이 있습니다.

수령방법은 당연히 온라인발급(본인출력)을 선택하시면 되며 증명서 사용 목적은

대금수령, 해외이주, 부동산 신탁등기, 그 밖의 목적 4가지가 있습니다.

본인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시고 그 밖의 목적 선택 시에는 사유를 간략하게 기입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관공서, 은행 등 제출용이 목적일 때 "제출용" 이런 식의 단답형으로 기입하시면 됩니다.

신청내용을 빠짐없이 잘 기입하셨다면 "민원신청"을 클릭합니다.

 

여기서 잠깐...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 등 일반적인 서류는 비회원 신청으로 가능하지만

지방세 납세증명서의 경우는 세금의 납부 유무를 판단하는 중요한 서류로 본인인증을 거쳐서

발급이 된다는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공인인증서가 있으면 간단하게 인증받으시면 되고, 혹여 없더라도 간편인증으로서 해결이 됩니다.

카카오톡 인증이라던지 네이버 인증, 스마트폰 앱을 통한 여러 가지 간편인증으로 인증이 가능합니다.

여러가지 인증 중 하나로 인증을 하시면 발급 창으로 바로 진행됩니다.

 

이렇게 페이지 로딩 창이 열리며 인터넷이나 PC 사용환경에 따라

수 초에서 수 분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신청내역이 정상적으로 접수가 되었으며 문서발급이 가능합니다.

민원사무명과 교부기관등 확인내용 확인하시고

"문서출력"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이렇게 지방세 납세증명서 출력창이 나옵니다.

인쇄를 눌러 프린터로 출력하면 끝이 납니다.

 

쉽고 간편하게 어디서나 공인인증서나 간편인증으로 통해서 

주민센터나 구청 방문 없이 지방세 납세증명서 출력을 해 보았습니다.

 

 

정부24 ▼

 

정부서비스 | 정부24

정부의 서비스, 민원, 정책·정보를 통합·제공하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포털

www.gov.kr

 

이전 포스팅에서도 정부24 홈페이지를 활용한 건축물대장 등 몇 가지 내용을 담았습니다.

다음번 포스팅에서도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반응형

댓글